군주에 대한 간언은 지극히 어렵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군주에 대한 간언은 지극히 어렵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지여니 작성일16-12-14 10:35 조회736회 댓글0건

본문

정관 15년에 태종이 위징(魏懲)에게 물어 말하기를
“근자에 조정 신하들이 모두 일을 논하지 않으니 무슨 까닭인가.”
하였다.


위징이 대답하기를
“폐하께서는 마음을 비우시고 채납(採納)하십니다.
참으로 좋은 언자(言者)가 있을 겁니다.
그런데, 옛 사람이 말하기를
‘아직 신임을 받지 못하고 간하면 곧 자기를 비방하는 것으로 압니다.
신임을 받으면서 간하지 않으면 곧 이것은 시록(尸祿 : 국록을 받는 도둑놈)이 된다’
고 하였습니다.
다만 사람의 재기(才器)는 각각 같지 않습니다.
겁 많고 무기력한 사람은 충직한 마음을 품고도 말하지 못합니다.
친밀하지 못한 사람은 신임을 받지 못한다는 것을 두려워하여 말할 수가 없습니다.
관직에 연연한 사람은 신변이 편하지 않을 것을 염려하여 감히 말하지 않습니다.
서로 더불어 입을 다물고 남의 뜻에 동조하는 까닭입니다.”
하였다.


태종이 이르기를
“진실로 경의 말과 같다.
짐은 매양 그것을 생각한다.
인신(人臣)이 간하고자 하면, 곧 사망의 재화(災禍)를 두려워한다.
그것은 정확(죄인을 삶아 죽이는 형구)으로 가거나 적진으로 뛰어드는 것과 무엇이 다를 것인가.
고로 충정한 신하는 정성을 다하고자 아니하는 자가 아니다.
용감하게 성의를 다하는 자는 이것이 지극히 어렵다.
우왕(禹왕)이 창언(昌言 : 도리에 합당한 말)을 듣고 절을 한 까닭은, 어찌 이를 위해서가 아니겠는가.
짐은 이제 가슴을 터 놓고 간쟁을 받아 들인다.
경등은 두려워하여 드디어 극언을 하지 않는 일이 없도록 하라.”
하였다.


신하가 군주를 간한다는 것은 실로 지난한 일이다.
위징 (魏懲)의 말은 현대의 관공서나 회사 등의 실정에도 부합된다.
부하 직원의 충고를 들음에도 받아들여야 할 측의 마음의 자세가 매우 중요한 일이다.



                                      吳 兢 지음 <당태종 정관정요> 중에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Total 1,628건 82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13 내 슬픈 바람아 인기글 작은여시 12-17 1457
412 내 심장은 지금 해피하다 인기글 흥치 12-16 747
411 좋고 나쁜 것은 없다 인기글 지여니 12-16 1288
410 힘내라 나무야 인기글 작은여시 12-16 990
409 밝은 화음을 넣어줄 수 있는 사람 인기글 흥치 12-15 729
408 겨울에 심는 행복 씨앗 인기글 지여니 12-15 1889
407 먼 후일 인기글 작은여시 12-15 1950
406 말랭이 꽃 인기글 흥치 12-14 529
열람중 군주에 대한 간언은 지극히 어렵다 인기글 지여니 12-14 737
404 훌륭한 교양은 양식의 꽃이다 인기글 작은여시 12-14 607
403 비판없는 관계에서 배신이 일어난다 인기글 흥치 12-13 1119
402 그래도 살만하다고 느껴지는 순간 인기글 지여니 12-13 370
401 빈손의 노래 인기글 작은여시 12-13 533
400 사랑은 몸에 좋다 인기글 흥치 12-12 1462
399 다 바람 같은 거야 인기글 지여니 12-12 813
게시물 검색
상단으로

TEL. 010-8616-4790 FAX. 031-278-5407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구운동526-7
대표:김동배 사업자등록번호:624-33-00084 개인정보관리책임자:김동배

Copyright © 수원스카이(SuwonSky.com)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