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조각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은여시 작성일16-09-03 13:16 조회82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색즉시공
-석남사에서-
류윤
망사 커튼 드리워진 듯 하던 안개가 걷히고
아미蛾眉를 수그린 여인의 이마처럼
동두렷한 먼데 산등성이
한 발짝 성큼 다가서면
긴 울음 추스름 끝에
속눈썹에 맺히는
정결한 눈물방울처럼
처마 끝 가지런하겠다
향 맑은 낙숫물 지는 소리
똑, 또록......
여백에 드문드문 점을 찍는
산사의 뜨락
우란분절을 맞아
한복 차림으로 하나, 둘 찾아드는
아리따운 여인들의
부용꽃 같은 자태가 눈부시다
보랏빛 연정이 안으로 번지는 수국다발
손톱 밑으로 분홍 꽃물이 드는 봉숭아
따가운 봄 햇살에
명주 고름 같은 바람이
부드럽게 목에 와 휘감기고
무더기무더기 안팎 초록이
송글 송글 맺히는 땀방울 위로 사태져온다
잊고 살아온 아스라한 연정이 밀물져 온다
하늘에 구름 한점 없는, 피안彼岸 같은 눈부신 봄날이다
시작노트: 고승들의 해석은 많지만, 가장 명쾌하고 독창적으로 해설한 이는 신라의 원측이다. 원측은 그의 반야바라밀다심경찬에서 유식삼성의 교리에 입각하여 이 구절을 해석하였다.
원측은 색즉시공에 대하여, “변계소집은 본래 없는 것이므로 공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의타기성은 마치 허깨비와 같은 것이어서 인연 따라 일어나는 까닭에 공이다. 원성실성은 생겨나지 않는 것이므로 마치 공화와 같고 그 자체가 또한 공허한 것이다라고하였다.
다시 말하면, 변계소집에 의하여 일어난 색은 본래 없는 것을 망념으로 그려낸 것이기 때문에 공허하다는 것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